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는 서울특별시의 소방 업무를 총괄하는 기관이다. 1972년 서울특별시 소방본부로 처음 설치되었으며, 1998년 소방본부와 민방위재난관리국이 통합되어 소방방재본부로, 2008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조직으로는 소방행정과, 재난대응과, 예방과, 안전지원과, 소방감사담당관, 119특수구조단 등이 있으며, 서울특별시 소방학교, 119특수구조단, 청와대소방대, 항공대 등의 산하 기관을 두고 있다. 또한, 24개의 소방서와 서울종합방재센터를 운영하며, 소방 장비와 인력을 갖추어 화재 진압, 구조, 구급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과거 119 구급대의 골든타임 도착률 조작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 서울특별시 시민안전파수꾼
서울특별시 시민안전파수꾼은 시민들의 재난 초기 대응 능력 향상과 '황금시간' 확보를 통해 시민의 안전을 지키는 시민 참여형 안전 시스템이다. - 1972년 설치 - 서울금천경찰서
서울금천경찰서는 1972년 서울남부경찰서로 개서되어 관할 구역 변경 및 분서를 거쳐 2006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2018년 금천구청 인근으로 이전하여 2개의 지구대와 3개의 파출소, 여러 치안센터를 관할하며, 112종합상황실, 청문감사관, 경무과, 생활안전과, 여성청소년과, 수사과, 형사과, 경비교통과, 정보과, 보안과 등의 부서를 두고 있다. - 1972년 설치 - 서울특별시서부교육지원청
서울특별시서부교육지원청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마포구, 은평구의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관할하며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 창의성 및 감수성 함양을 지원하는 교육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 소방청 - 대한민국 소방방재청
소방방재청은 재해로부터 국토와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재난 및 안전 관리 시스템 구축을 담당했던 행정기관으로,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해체되어 소방청으로 재출범하였다. - 대한민국 소방청 - 대한민국의 소방청장
대한민국의 소방청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며, 소방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중앙긴급구조통제단장을 겸임하고, 소방본부장과 소방서장을 지휘·감독하며 긴급구조에 관한 사항을 총괄·조정한다.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
로마자 표기 | Seoul Metropolitan Fire & Disaster Headquarters |
종류 | 시립 소방 서비스 |
설립일 | 1972년 6월 1일 |
본부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
본부장 | 황기석 |
관할 구역 | 서울특별시 일원 |
모토 | Safe Seoul |
웹사이트 |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
![]() | |
조직 | |
상급 기관 | 서울특별시청 |
산하 소방서 | 24개 |
산하 기관 | 4개 |
2. 연혁
- 1972년 서울특별시 소방본부가 설치되었다.[1]
- 1983년 7월 18일 소방교육대가 발족되었다(조례 제정일 기준).[1]
- 1983년 4월 22일 서울특별시 항공소방대 설치 조례가 제정되었다(이후 "항공대"로 명칭 변경).[1]
- 1986년 9월 22일 소방교육대가 소방학교로 승격되었다.[1]
- 1986년 12월 15일 서울특별시 청와대소방대 설치 조례가 제정되었다.[1]
- 1998년 서울특별시 소방방재본부로 변경되었다.[1]
- 2002년 3월 22일 서울종합방재센터가 설치되었다.[2]
- 2008년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로 변경되었다.[1]
2. 1. 설립 초기
1972년 서울특별시 소방본부가 설치되었으며, 중부(현재의 종로), 영등포, 용산, 성동(현재의 광진) 4개 소방서로 구성되었다.[1] 1983년 7월 18일 소방교육대가 발족되었고(조례 제정일 기준), 1986년 9월 22일 소방교육대가 소방학교로 승격되었다.2. 2. 조직 확대 및 개편
1983년 4월 22일, 서울특별시는 항공소방대 설치 조례를 제정하였다. 이후 항공소방대는 "항공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1986년 12월 15일에는 서울특별시 청와대소방대 설치 조례가 제정되었다.[1]1998년 8월 12일, 소방본부와 민방위재난관리국이 통합되어 소방방재본부가 설치되었다.[1] 2002년 3월 22일에는 서울종합방재센터가 설치되었다.[2] 2008년 1월 1일, 소방방재본부는 소방재난본부로 명칭을 변경하였다.[1]
3. 조직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는 본부장(소방정감) 아래 소방행정과, 재난대응과, 예방과, 안전지원과, 소방감사반(반장은 지방소방정), 119특수구조대(대장은 지방소방령)를 두고 있다. 각 부서별 담당팀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본부 조직
소방재난본부장 (소방정감) | ||||
---|---|---|---|---|
소방행정과 (과장은 지방소방준감) | 재난대응과 | 예방과 | 안전지원과 | 소방감사반 (반장은 지방소방정) |
119특수구조대 (대장은 지방소방령) |
3. 2. 주요 부서 및 업무
부서명 | 담당팀 | 주요 업무 |
---|---|---|
소방행정과 | 소방정책팀, 조직경영팀, 인사팀, 경리팀, 자산관리팀, 재난안전소방팀 | 소방행정, 정책기획, 소방예산, 보건안전복지 |
재난대응과 | 대응전략팀, 구조대책팀, 구급관리팀 | 대응총괄, 긴급대응, 화재조사, 재난협력 |
예방과 | 예방팀, 검사지도팀, 가스위험물안전팀, 홍보기획팀 | 화재예방, 위험물안전, 화재안전조사, 소방사법 |
안전지원과 | 장비관리팀, 안전교육팀, 전산기획팀, 안전보건팀, 광나루안전체험관, 보라매안전체험관 | 생활안전, 도민안전지원, 안전교육, 언론공보, 회계운영, 계약관리, 소방자산관리, 장비관리, 소방건축 |
소방감사담당관 | 감사총괄팀, 감사팀, 조사팀 | 공직기강, 소방감사, 청렴법무, 감찰조사 |
특수구조단 | (해당 부서의 담당팀은 원문에 명시되지 않음) | 구조총괄, 구급총괄, 구급품질, 특수재난대책 |
119종합상황실 | (해당 부서의 담당팀은 원문에 명시되지 않음) | 상황관리지원, 재난정보기획, 정보통신관리, 정보통신보안, 재난정보분석 |
서울특별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제18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해져 있다.[1]
- 소방 행정, 화재 예방·경계 및 진압에 관한 사항
- 소방 시설 유지, 가스 등 위험물 안전 관리에 관한 사항
- 긴급 구조·구급에 관한 사항
- 서울종합방재센터 운영
4. 산하 기관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산하에는 직할대와 4개 방면의 소방서가 있다.[15]
- '''직할대'''
- 청와대소방대
- 서울특별시 소방학교
- 특수구조단
- '''소방서'''
방면 | 관할 소방서 |
---|---|
제1방면(북서권역)[16] | 서울종로소방서, 서울중부소방서, 서울용산소방서, 서울은평소방서, 서울마포소방서, 서울서대문소방서 |
제2방면(북동권역)[17] | 서울동대문소방서, 서울광진소방서, 서울성북소방서, 서울도봉소방서, 서울노원소방서, 서울중랑소방서, 서울강북소방서, 서울성동소방서 |
제3방면(남서권역) | 서울영등포소방서, 서울강서소방서, 서울양천소방서, 서울구로소방서, 서울금천소방서, 서울관악소방서, 서울동작소방서 |
제4방면(남동권역)[18] | 서울강남소방서, 서울강동소방서, 서울서초소방서, 서울송파소방서 |
4. 1. 소방서
서울특별시에는 금천구를 제외한 각 구에 24개의 소방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크게 4개 방면으로 구분된다.[15] 각 소방서는 지방 소방정의 지휘 아래 119 안전센터, 119 구조대, 수난 구조대를 관할한다.각 방면별 관할 소방서는 다음과 같다.
- '''제1방면'''(북서권역): 서울종로소방서, 서울중부소방서, 서울용산소방서, 서울은평소방서, 서울마포소방서, 서울서대문소방서[16]
- '''제2방면'''(북동권역): 서울동대문소방서, 서울광진소방서, 서울성북소방서, 서울도봉소방서, 서울노원소방서, 서울중랑소방서, 서울강북소방서, 서울성동소방서[17]
- '''제3방면'''(남서권역): 서울영등포소방서, 서울강서소방서, 서울양천소방서, 서울구로소방서, 서울금천소방서, 서울관악소방서, 서울동작소방서
- '''제4방면'''(남동권역): 서울강남소방서, 서울강동소방서, 서울서초소방서, 서울송파소방서[18]
각 소방서 및 소속 119 안전센터, 119 구조대·수난구조대의 명칭 및 유무는 아래 표와 같다.
소방서 | 119 안전센터 | 119 구조대 | 수난구조대 |
---|---|---|---|
종로소방서 | 세종로, 신교, 종로, 연건, 신영, 숭인 | ○ | × |
중부소방서 | 무학, 을지로, 충무로, 신당, 회현 | ○ | × |
성동소방서 | 행당, 왕십리, 성수, 금호 | ○ | × |
광진소방서 | 구의, 능동, 중곡 | ○ | ○ |
용산소방서 | 한강로, 이태원, 후암, 이촌, 서빙고 | ○ | × |
동대문소방서 | 장안, 청량리, 전농, 용두, 휘경 | ○ | × |
중랑소방서 | 신내, 면목, 망우, 중화 | ○ | × |
영등포소방서 | 영등포, 당산, 여의도, 대림, 신길 | ○ | ○ |
성북소방서 | 종암, 돈암, 길음, 장위 | ○ | × |
도봉소방서 | 방학, 도봉, 창동 | ○ | × |
강북소방서 | 번동, 우이, 미아, 삼각산 | ○ | × |
노원소방서 | 하계, 상계, 공릉, 월계, 수락 | ○ | × |
은평소방서 | 진관, 녹번, 갈현, 역촌, 수색 | ○ | × |
서대문소방서 | 연희, 북가좌, 홍은, 미근 | ○ | × |
마포소방서 | 신수, 염리, 서교, 성산, 상암, 공덕 | ○ | × |
강남소방서 | 삼성, 논현, 역삼, 수서, 개포 | ○ | × |
서초소방서 | 반포, 방배, 양재, 서초, 잠원, 우면 | ○ | × |
관악소방서 | 관악, 봉천, 신림, 난곡 | ○ | × |
동작소방서 | 동작, 노량진, 상도, 백운 | ○ | × |
강서소방서 | 등촌, 화곡, 발산, 방화, 개화 | ○ | × |
양천소방서 | 양천, 신정, 목동, 신월, 신트리 | ○ | × |
강동소방서 | 성내, 천호, 고덕, 암사, 길동 | ○ | × |
송파소방서 | 마천, 잠실, 거여, 종합운동장, 방이, 가락 | ○ | × |
구로소방서 | 고척, 구로, 공단, 고척, 수궁, 독산, 시흥, 신도림 | ○ | × |
4. 1. 1. 하부 조직
4. 2. 서울종합방재센터
서울종합방재센터는 재난, 재해 및 민방위 경보를 총괄 지휘 통제하는 기관이다. 소장은 지방소방준감이다.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 문화의 집길 11(산 4번지 5호)에 위치한다.[15]4. 2. 1. 하부 조직
4. 3. 서울특별시 소방학교
서울특별시 서초구 교육원로 27(서초동 391번지)에 있으며, 소방 공무원 교육 훈련을 수행한다.[15] 학교장은 소방준감이다.4. 3. 1. 하부 조직
4. 4. 서울특별시 청와대소방대
대통령실 (청와대) 내 화재 예방, 경계 및 진압 업무를 수행한다.[15] 대장은 지방소방령이다. 위치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와대 앞길 50 (세종로 1번지)에 있다.4. 5. 서울특별시 119특수구조단
119특수구조단은 특수 재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조직이다.[15]4. 6. 서울특별시 항공대
서울특별시 항공대는 화재 진압, 인명 구조뿐만 아니라 무허가 건축물 단속을 위한 항공 사진 촬영, 자연 환경 보존을 위한 단속·조사 활동, 교통 정보 제공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15]4. 6. 1. 하부 조직
대장은 지방소방령이다. 위치는 서울특별시 강서구 항공로 678(오곡동 244번지)에 있다.- 행정반 (반장은 지방소방위)
- 운항반
- 정비반
5. 장비
장비 종류 | 대수 |
---|---|
고가 사다리차 | 25 |
굴절 사다리차 | 28 |
방수탑차 | 2 |
펌프차 | 142 |
물탱크차 | 133 |
화학차 | 22 |
제독 화학차 | 4 |
구급차 | 140 |
구조 공작차 | 23 |
구조 버스 | 24 |
지휘차 | 23 |
배연차 | 15 |
조명 제연차 | 12 |
화생방 제독차 등 | 82 |
화물차 | 33 |
유조차 | 1 |
교육용 차 | 5 |
행정차 | 76 |
오토바이 | 154 |
트레일러 | 25 |
소방 헬기 | 3 |
구조정 | 2 |
6. 역대 본부장
대수 | 이름 | 임기 |
---|---|---|
제1대 | 서기석[7] | 1972년 6월 1일 ~ 1974년 2월 21일 |
제2대 | 이원복[7] | 1974년 2월 22일 ~ 1975년 6월 22일 |
제3대 | 한갑석[7] | 1975년 6월 23일 ~ 1976년 3월 14일 |
제4대 | 서상빈[7] | 1976년 3월 15일 ~ 1978년 7월 21일 |
제5대 | 류봉식[8] | 1978년 7월 22일 ~ 1981년 12월 13일 |
제6대 | 김대양[8] | 1981년 12월 14일 ~ 1983년 12월 19일 |
제7대 | 이형우[8] | 1983년 12월 20일 ~ 1985년 11월 19일 |
제8대 | 임병옥[8] | 1985년 11월 20일 ~ 1988년 6월 30일 |
제9대 | 서성석[8] | 1988년 7월 1일 ~ 1991년 6월 30일 |
제10대 | 한금종[8] | 1991년 7월 1일 ~ 1994년 3월 30일 |
제11대 | 최재홍[8] | 1994년 4월 8일 ~ 1994년 9월 26일 |
제12대 | 강원도[9] | 1994년 9월 27일 ~ 1995년 10월 5일 |
제13대 | 이무열 | 1995년 10월 6일 ~ 1996년 11월 7일 |
제14대 | 이학기 | 1996년 11월 8일 ~ 1998년 3월 31일 |
제15대 | 성무 | 1998년 4월 1일 ~ 1999년 4월 25일 |
제16대 | 신주영 | 1999년 4월 26일 ~ 2000년 7월 7일 |
제17대 | 김광수 | 2000년 7월 8일 ~ 2002년 11월 1일 |
제18대 | 최성룡 | 2002년 11월 2일 ~ 2004년 1월 11일 |
제19대 | 박창순 | 2004년 1월 12일 ~ 2004년 6월 24일 |
제20대 | 임용배[10] | 2004년 6월 25일 ~ 2007년 2월 12일 |
제21대 | 김한용[10] | 2007년 2월 13일 ~ 2007년 6월 8일 |
제22대 | 정정기[10] | 2007년 6월 14일 ~ 2009년 1월 1일 |
제23대 | 이기환[11] | 2009년 1월 2일 ~ 2009년 11월 5일 |
제24대 | 최웅길[11] | 2009년 11월 6일 ~ 2012년 2월 19일 |
제25대 | 조성완[11] | 2012년 2월 20일 ~ 2013년 5월 5일 |
제26대 | 권순경[11] | 2013년 5월 6일 ~ 2017년 7월 24일 |
제27대 | 정문호[11] | 2017년 7월 26일[12] ~ 2019년 1월 3일 |
제28대 | 이재열[11] | 2019년 1월 4일[13] ~ 2019년 9월 5일 |
제29대 | 신열우[11] | 2019년 9월 6일[14] ~ 2020년 11월 |
제30대 | 최태영 | 2020년 12월 ~ 2023년 2월 |
제31대 | 황기석 | 2023년 2월 ~ |
7. 논란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는 119구급대의 '골든타임 내 도착 출동률'을 조작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19] 이는 소방관의 안전을 도외시한 채 시간만을 기준으로 평가를 진행하여 과열 경쟁을 유발했다는 비판을 받는다.[20] 또한, 시장의 공약사항을 무리하게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부작용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22]
7. 1. 골든타임 도착률 조작 논란

서울소방재난본부는 서울 지역 119구급대의 '골든타임 내 도착 출동률'이 83.4%라고 밝혔다.[19] 그러나 이는 각종 기기를 조작해 부풀린 것으로 드러났다. 일선 소방서에서 차고지 탈출 시간을 GPS로 수신해 차량이 소방서를 벗어난 시간을 기록하는데, 소방관의 안전은 고려하지 않고 시간만을 소방관서별로 평가해 더 나은 점수를 받기 위해 과열되는 양상을 보인다는 주장도 있다.[20] 소방본부는 "골든타임 내 도착을 권장했지만 강요까지는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21], 서울시내 23개 소방서와 138개 안전센터를 차고 탈출 시간에 따라 줄을 세운 측정표와, 이에 따른 결과는 서장의 인사평가에 반영되고 있었다. 골든타임 목표제는 앞뒤가 뒤바뀌었다는 주장과 시장의 공약사항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이라는 입장이 공존하고 있다.[22]
참조
[1]
문서
中区 (ソウル特別市)
[2]
뉴스
서울종합방재센터 개관
http://www.gasnews.c[...]
デジタルガス新聞
2002-03-23
[3]
뉴스
서울시 직할로 소방본부 발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2-06-01
[4]
웹인용
서울소방 슬로건
http://fire.seoul.go[...]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2015-09-30
[5]
문서
대한민국 지방자치법
[6]
웹인용
서울특별시 행정기구 설치조례 시행규칙 제24조
http://www.law.go.kr[...]
서울특별시청
2015-08-31
[7]
문서
부이사관
[8]
문서
2급 지방소방정감
[9]
문서
2급 소방정감
[10]
문서
2급 소방감
[11]
문서
1급 소방정감
[12]
웹인용
정부인사발령통지
https://koreafireser[...]
국민안전처
2017-07-26
[13]
웹인용
정부인사발령통지
https://koreafireser[...]
대한민국 소방청
2020-01-04
[14]
url
opengov.seoul.go.kr
http://opengov.seoul[...]
[15]
웹인용
서울특별시 재난대응 소방력 운영규칙 제9조 제2항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4-05-22
[16]
뉴스
제1방면 메르스 관련 소방관서장 긴급회의
https://web.archive.[...]
뉴시스
2015-06-17
[17]
뉴스
제2방면 메르스 소방관서장 긴급회의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6-16
[18]
뉴스
메르스 관련 제4방면 소방관서장 긴급회의
https://web.archive.[...]
뉴시스
2015-06-16
[19]
뉴스
서울 119 '5분 내 도착' 작년 83.4%로 향상돼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4-02-11
[20]
뉴스
"[이건의 소방이야기 17] 골든타임에 대한 올바른 해석"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5-01-04
[21]
뉴스
"[탐사플러스] 8분 걸렸는데 5분 기록…조작된 119 골든타임"
http://news.jtbc.joi[...]
jtbc
2015-01-08
[22]
뉴스
"[탐사플러스] \"실적 경쟁 때문에\"…119 '부정출발' 꼼수까지"
http://news.jtbc.joi[...]
jtbc
2015-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